전체 글 (51) 썸네일형 리스트형 [SwiftUI] Image (1) SwiftUI에서 Image 사용법에 대해 알아보겠다. UIKit에서 쓰이던 UIImageView를 대체할 수 있는 녀석이다. 일단 에셋에 image 하나를 넣어주겠다. ( image이름 - "swiftui" ) 그리고 아래와 같이 body 안에 코드를 입력하면 끝이다. UIImageView에 UIImage를 넣어주고 하는 과정이 한줄의 코드로 가능한것이다. var body: some View { Image("swiftui") } 여기서 주의사항은 image는 기본적으로 image 본연의 사이즈를 유지한다는 점이다. 이게 무슨말이냐 하면 image 파일을 열어서 사이즈를 확인해보면 해당 image의 사이즈를 알 수 있는데 그사이즈를 유지하고 있다는 말이다. 이말은 곧 frame이라는 수식어를 사용해서 i.. [Swift_Grammar] 구조체와 클래스 구조체와 클래스는 프로퍼티와 메서드를 사용하여 하나의 새로운 사용자 정의 데이터 타입을 만들어 줄수 있다. 구조체를 먼저 보자면 struct 키워드를 사용하고 새로운 타입을 생성해주는것과 같으므로 대문자 카멜케이스로 이름을 지어준다. struct Person { let name: String var age: Int } 구조체를 정의하고 초기화 할때 아래와 같이 타입과 프로퍼티 이름을 그대로 받는 기본적으로 생성되는 init이 있다. ( 멤버 와이즈 이니셜라이저 ) 또한 점문법을 사용하여 프로퍼티에 접근할 수 있다. 하지만 구조체를 let 으로 생성한 후 프로퍼티에 값을 변경하려고 하면 상수이기 때문에 컴파일 에러가 난다. let kim = Person(name: "kim", age: 2) print(ki.. [Swift_Grammar] Optional 오늘은 Optional에 대해서 포스팅 하겠다. Optional은 값이 있을 수도, 없을 수도 있음을 나타내는 표현이다. ( 없는건 nil로 표현한다. ) 변수나 상수 등에 꼭 값이 있다는 것을 보장할 수 없으며 그 값이 nil 일 수도 있다는걸 의미한다. Int 타입 변수에 값이 0, 혹은 String 타입 변수에 값이 "" (빈 문자열) 이라고 가정할때 이 상황에서 해당 변수들의 값은 없는게 아니다. 단지 0이라는 값이 들어간, 빈 문자열 이라는 값이 들어간 변수 또는 상수인것이다. 그러니 nil 이라는 값과 혼동을 해서는 안된다. let value1 = 0 let value2 = "" nil은 Optional 타입에만 할당을 할 수 있다. 일반 타입에 nil을 할당 하고자 한다면 컴파일 에러가 발생..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 17 다음